Iklan

Your Ads height=

참기름 vs 들기름: 진짜 영양차이를 알고 계셨나요?

참기름과 들기름은 향긋한 풍미와 건강에 좋은 효능으로 많이 사용하는 기름이다. 이 두 기름을 비슷한 것으로 생각하고 함께 보관하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 보관법과 효능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구분해서 알아두는 게 좋다.

◇참기름, 불포화지방산·리그난 풍부… 노화 방지 우선 참기름의 지방산은 오메가-6 계열인 리놀레산이 40%, 오메가-9 계열인 올레산이 40% 포함되는 등 다량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 이 성분들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생성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참기름에는 '리그난'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노화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참기름은 다양한 요리에 사용할 수 있다. 요리 마무리에 한 바퀴 둘러주면 고소한 풍미를 높여준다. 특히 불고기 양념을 할 때 참기름을 먼저 넣고 재워두면 고기가 연해지고 맛이 좋아지며, 시금치나물을 무칠 때 넣으면 비타민 흡수율을 높여준다.

◇들기름, 오메가3 풍부…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 들기름에는 오메가3 계열의 알파리놀렌산이 60% 이상 포함되어 있다. 이는 학습 능력과 기억력 증진에 도움을 주며, 각종 만성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오메가3는 고혈압이나 협심증,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예방도 돕는다. 또 혈관 벽에 붙은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끈적한 혈전(피떡)이 생기는 것을 막는다. 실제로 영국의학저널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오메가3가 풍부한 씨앗을 하루 30g씩 한 달간 섭취한 사람들이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각각 17%,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리할 때는 들기름이 잡냄새를 잡는 데 유용하다. 매운탕 양념장을 만들 때 들기름을 약간 넣으면 생선 비린내를 잡을 수 있고, 도라지를 볶을 때 넣으면 특유의 느끼한 냄새를 없앨 수 있다.

◇참기름은 상온에, 들기름은 냉장 보관을 참기름의 보관법에는 어떻게 다른 점들이 있는 걸까요? 참기름은 사실 냉장고 대신 실내 온도에서 보관하는 게 제일 잘 어울립니다. 이는 참기름 안에 들어있는 리グ닌 물질 덕분으로, 이것이 기름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온도에서도 꽤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실제 인천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연구 결과에서는 참기름이 다른 종류의 기름들보다 실내 온도에서 더 천천히 변질된다는 것도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참기름은 직접 태양빛이 닿지 않고 시원하고 그늘이 지는 장소에서 밀봉해서 보관해야 합니다. 냉장 보관하게 되면 오히려 향이나 맛이 줄어드는 경향성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조사결과 참기름과 들깨기름을 각각 80%와 20%씩 혼합해 보관한다면 맛을 좀 더 길게 유지하며 보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결론입니다.

반대적으로, 들기름은 항상 냉장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들기름의 핵심 성분 중 하나인 오메가3는 쉽게 산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실온에서는 신속하게 변질될 위험이 있습니다. 탈린된 들기름은 건강에 해롭으니 먹어서는 안 됩니다. 농촌진흥청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섭씨 4도 환경에서 저장된 들기름에는 거의 산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25도에서 보관되면 약 20주의 시간 후 과산화물 지수가 크게 증가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부패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므로 들기름의 맛과 향기를 유지시키려면 용기에 덮개를 단단히 하여 차갑게(섭씨 4도 미만) 관리되어야 합니다. 또한 농촌진흥청 역시 집안에서 들기름을 보관할 경우 꼭 냉장실에 넣도록 제언하고 있습니다.

참기름 vs 들기름: 진짜 영양차이를 알고 계셨나요? 참기름 vs 들기름: 진짜 영양차이를 알고 계셨나요? Reviewed by Diwida on December 26, 2024 Rating: 5
Powered by Blogger.